모바일 서비스 기획 (Sevice Planning, UI/UX Planning, GUI Design) / 단독작업 (참여율 100%)
1. Goal & Scope
화물기사의 화물 배차 앱 사용 경험을 주의 깊게 조사, 컨텍스트 관찰을 통해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그들의 고통, 불편점, 니즈를 발견하였습니다. 이를 토대로 화물 배차 앱의 개선사항과 화물기사에게 우선시되는 최고의 가치를 파악하여 화물 배차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서 이상적인 고객 경험 설계에 대해 고찰하였습니다.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50~60대 이상의 개인 화물기사들도 수익성 좋은 배차 정보 를 쉽게 검색할 수 있는 모바일 화물 배차 어플 ‘똑차’ 서비스를 제안하였습니다.
- 연구 주제 : 모바일 화물 배차 어플리케이션 (화물 기사용 앱)
- 고객 대상 : 개인 화물 사업자 (주 타겟 : 50대 이상의 화물 기사)
2. 개인 화물 사업자의 업무 프로세스
개인 화물 사업자는 다양한 채널의 배차 정보를 통해 유동적으로 원하는 배차를 선정하여 화물을 배송
3. Stakeholders Map
핵심대상과 관련된 이해관자의 역할 및 관계
직접적인 이해관계자
1. 물류전문 중계회사 (오프라인)
- 화물기사에게 정보이용료(매월 20만원)를 받고 배차정보를 제공
- 영업을 통해 화주를 유치 및 관리, 불량화주가 적음
- 화물기사와 중계회사 상호간에 신뢰가 있음
- 화주가 입금을 완료하지 않아도 발생된 배송임금을 회사에서 기사에게 배상
2. 배차정보 중계업자 (모바일 앱/무전기)
- 화물기사에게 정보이용료(매월 3만원)를 받고 배차정보를 제공
- 영업을 통해 화주를 유치 및 관리, 불량화주가 많음
- 저렴한 정보이용료 때문에 많은 화물기사들은 화물배차 앱을 사용
3. 상/하차지 관계자 및 기타 수령자
- 화물 오더 최종결정 이후 상호간에 연락하여 물건을 싣고 내림
- 가끔 하차지 관계자들의 실수로 화물기사가 하차지에 두번씩 가야하는 경우가 종종 있음 (하차지 상주 직원 퇴근 및 커뮤니케이션 실수 등)
간접적 이해관계자
1. 화주
- 물류 중계업자 또는 화물기사에게 화물을 제공
4. 모바일 화물 배차 앱의 현황
국내 대표 화물배차 어플리케이션의 배차정보 화면
5. 화물 배차 앱의 업무 프로세스에서 본 고객의 Pain 영역
6. 개인 사업자 화물기사의 Pain Point
스마트폰에 익숙하지 않은 50세 이상 중장년 화물기사의 화물배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과정을 관찰하였고, 그들의 삶과 업무과정의 경험을 인터뷰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업무와 관련된 이해관계자와의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화물기사가 느끼는 Pain Point, Needs, Value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화물기사에게 시간은 수익과 연결되므로 그들은 능동적이고 유연성 있는 수익성 배차 정보 제공을 원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실제 화물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실기간으로 뿌려지는 많은 배차정보 속에서 화물기사가 직접 자신의 위치와 이동거리, 이동시간, 유류비 등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화물 오더를 찾아 선택해야만 했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화물기사들은 좋은 배차정보를 찾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배차 신청 이후에도 상차지 관계자와의 통화, 상차지 주소 필기, 내비게이션 주소 입력 등 업무 중 많은 의사 결정에 대한 비용소모로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특히 이러한 의사 결정 과정에서 운전 중 교통사고에 노출된 경험이 많았으며, 그들은 생명의 위험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Facts (화물배차 어플의 실태 및 불편점, 니즈)
- 불량화주로 인한 금전적 손실이 생긴다.
- 배차정보의 가독성, 가시성이 떨어져 좋은 정보를 쉽게 찾기가 힘들다.
- 내 위치, 거리, 이동시간, 유류비용 등 여러가지를 고려해서 배차를 신청해야 하는데, 실제 사용시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 사실상 일차적으로 금액을 먼저 확인 후, 배차신청을 누르고 본다.
- 화물상차 이후 트럭의 빈 화물공간이 있으면 수익을 더 내기 위하여, 같은 목적지의 화물정보를 30분 정도 검색하며 기다려본다. (택시의 합승 개념)
- 오후 5시가 넘어가면 배차정보가 현저히 적어진다. 지방에서 공차로 돌아와야 하는 상황이 싫다.
- 늘 일을 열심히 하는데 정확히 얼마를 벌고 있는 지 잘 모르겠다. 이것저것 빠지는 돈이 많아 정확한 수익을 알 수가 없다. (유류비, 톨게이트비용, 수수료 등)
-운전 중 업무에 대한 의사결정으로 생명의 위험을 느낀다. (배차완료 이후 화주에게 상차지 정보를 전화를 통해 전달받는다.. 그리고 운전 중 수기로 상차지 주소를 적는다.. 내비게이션에 입력한다.. 등)
- 현금 거래시 세금계산서 및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주지 않아도 되어, 현금거래를 선호한다.
- 대부분의 화주가 등기 거래명세서를 선호하여, 아침마다 우체국에 가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Insights (의미있는 발견)
- 화물기사는 화주의 신뢰도 정보를 필요로 한다. 사전에 불량화주가 배차등록시 제지가 가능하나, 제지하지 않는다.
- 배차정보 확인이 복잡하다. 불필요한 정보가 섞여있다. 능동적이고 유연성 있는 수익성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 화물기사에게 시간은 수익과 연결된다.
- 의사결정의 비용소모가 크다.
- 직관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싶다.
- 화주용 프로그램에서 주소입력 시스템의 자동화가 필요하다.
- 화물기사는 현금 거래를 선호한다.
7. Ideation
발견한 것들을 다양한 사람들과 생각해보기 위해 SK T아카데미 HCI방법론을 통한 신규사업 기획과정을 통해 아이데이션을 함
Ideation Subject
화물기사를 위한 수익성 정보 제공 / 안전운전을 위한 위험요소 제거 / 화물 앱의 UX,UI 개선
Problem&Soution
[금전으로 연관되는 부분]
배송 가는 길에 같은 방향의 화물을 더 실었으면 좋겠다.
→ GPS, 지도 API를 활용한 정보검색
지방에서 공차로 돌아오는 상황이 없었으면 좋겠다.
→ 화주 외에도 일반인들의 참여 (소형화물, 원룸이사 등), 저렴한 숙박 시설 안내
원하는 배차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았으면 좋겠다.
→ 화물기사가 선호하지 않는 불필요한 정보 제거, GPS활용, UI 개선
불량화주에 대한 정보가 있었으면 좋겠다.
→ 화물기사가 배송완료 이후 화주의 신뢰도, 만족도에 대한 평가 (온라인 오픈마켓 참고)
[운전 중 발생되는 부분]
운전 중 업무에 대한 의사결정으로 사고의 위험이 크다.
→ 화물 배차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모든 업무 과정을 해결
운전 중 상차지 주소 수기 및 전화통화, 메세지 확인이 불편하다.
→ 모바일 내비게이션 어플 연동
8. Freamwork
Seamless UX (매끄러운 사용 경험 제공)
Simple & Easy UI (단순하고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Profitability Information (수익성 정보 제공)
Quick Decision (빠른 의사결정 제공)
9. User Persona (Main Terget : Extreme User)
이만식 1톤 트럭 차주
은퇴 이후 제2의 직업으로 화물운전을 선택한 대한민국 베이비부머 세대의 가장
나이 : 58세
직업 : 화물 기사 (개인사업자)
성격 : 지금까지 살아온 경험에 대한 자부심이 강함, 듣고 싶은 말보다는 하고 싶은 말이 많음
가족관계 : 기혼 / 자녀 2명
월 소득 : 200만원 이하
심리상태 : 가장으로서 아내, 자녀의 부양 책임, 노후에 대한 불안감, 디지털에 대한 소외감
신체활동 : 체력저하, 초기노안, 고혈압
기타사항 : 디지털 사회에 대한 부적응자, 스마트폰의 인터넷 뉴스를 읽기보다는 신문을 선호
주변 지인들이 은퇴 이후 화물운전을 하며 월 300만원 이상의 수익을 올리는 것을 보고, 그도 은퇴 이후 제 2의 직업으로 개인화물 운송업을 시작하였다. 그는 최근 가지게 된 직업 때문에 피쳐폰에서 스마트폰으로 교체하였다. 2달간의 노력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조금은 익숙해졌지만, 여전히 화물배차 어플 사용에는 어려움과 불편함을 느낀다.
Needs
수익 좋은 배차정보로 적은 배차건수로 일하고 안전하게 귀가하고 싶다.
어렵고 복잡한 화물 배차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이용하고 싶다.
Value
수익의 극대화, 안전성 확보
10. Final Proposal
11. 향후 해결해야 하는 과제
- 이해관계자에 대한 후속 조사 및 연구 필요
- 화주용 어플리케이션 제작
- 화주 영업 및 유치에 관련된 부분
- 아이디어 구현 및 상용화 개발의 문제 (소프트웨어)
- Map Open API의 활용에 대한 부분
- 향후 광고 및 마케팅에 대한 부분